지리산 반달곰, 덕유산·속리산 이동 가능성
지리산 반달곰, 덕유산·속리산 이동 가능성
  • 이재표 기자
  • 승인 2018.05.03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6마리까지 번식…지리산 수용한계 78마리 가까워져 ‘이동 중’
동면굴에서 확인된 새끼 반달가슴곰. 사진=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이 야생에 적응하면서 직선거리로 60~130km 떨어진 전북 무주 덕유산과 충북 보은 속리산까지 활동범위가 확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환경부는 2004년부터 북한·중국 등지에서 멸종위기종 1급인 반달곰을 들여와 지리산에 방사하는 반달곰 복원 사업을 벌였으며, 올해 초 8마리가 야생에서 태어나 현재 56마리로 늘어났다. 이로써 유전자 질환이나 자연재해 등을 겪어도 100~1000년간 99%이상 생존할 수 있는 최소 존속 개체군 50마리를 넘어섰다.

환경부는 반달곰의 평균 수명 20~25년과 새끼 출산 속도 등을 고려해 2027년엔 98마리 규모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속리산과 덕유산에도 반달가슴곰이 출몰할 거라 전망하는 이유다. 일정한 권역에서 생활하는 곰의 특성상 78마리가 지리산에 서식할 수 있는 수용한계다.

실제 2017년 반달가슴곰 1마리(KM-53)가 백두대간을 따라 약 100㎞ 떨어진 경북 김천 수도산에서 발견된 바 있으며 전남 광양과 곡성으로도 이동한 게 확인됐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반달가슴곰이 1회 이상 활동했던 지역이나 예상지역인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충북 등 5개 도와 17개 시·군, 시민단체, 전문가,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참여하는 공존협의체를 통해 올해부터 공존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반달가슴곰의 활동과 분산 지원을 위해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에도 나선다.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 용역 결과 반달가슴곰 서식지 확산 예측도. 자료=환경부

지리산, 덕유산, 속리산 등 중남부 권역으로 이어지는 국가 생태축 가운데 훼손·단절지역을 조사하고 2022년까지 복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서식환경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기관과 협력해 고속도로 폐도 복원, 생태통로 조성 등 생태계 연결사업도 병행하게 된다.

반달가슴곰은 생태·행동적 특성상 사람을 피하는 성향을 지녔지만 출산 및 이동시기에는 진입을 자제하고 대처요령 등을 알아두는 게 좋다.

환경부는 출입이 불가피한 지역주민들의 경우 곰 퇴치 스프레이 소지하도록 행정지원을 하고 양봉·농작물 피해에 대비해 전기울타리 등 방지 시설 설치, 안전 안내서 보급 등의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반달가슴곰이 야생에서 잘 번성해서 인간과 안전하고 행복하게 공존할 수 있도록 주민, 시민사회, 관계부처 및 지방정부가 함께 손을 잡아달라”고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