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살인
손가락 살인
  • 박상철
  • 승인 2019.11.01 1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여섯 토리는 친구 케빈을 죽음으로 몰아간 혐의로 기소됐다.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케빈이 죽을 수 있다는 걸 알면서도 언어폭력을 휘두른 혐의다. 하지만 토리는 이를 인정할 수 없다. 페이스북에서 농담 몇 마디 한 걸로 사람이 죽을 줄은 정말 몰랐기 때문이다. 게다가 케빈을 놀림거리로 삼은 건 토리만이 아니었다.》

톰 레빈이 쓴 책 <손가락 살인> 소개글 중 일부다. <손가락 살인>은 누구든지 사이버 폭력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해 준다. 또한 ‘맞다 보면 맷집 생긴다.’는 논리가 얼마나 위험한지도 보여준다.

故 최진실, 故 유니, 故 종현, 그리고 故 설리까지. 각종 악플로 고통 받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스타들. 이들은 괴롭힌 건 평범한 이들의 손가락이었다. 일명 손가락 살인이라 불리는 악플은 어느 누군가에겐 칼보다 더 깊은 상처를 남긴다.

“힘들다고 해도 들어주는 사람이 없었고 세상에 혼자 덩그러니 남겨진 기분이었다.” 지난해 10월 25일, 리얼리티 프로그램 ‘진리상점’에 출연한 설리가 한 말이다. 그로부터 약 1년 지난 후 꽃다운 나이 25살의 설리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악성댓글과 근거 없는 루머로 고통을 호소해 온 설리의 사망으로 인터넷 실명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뉴스 댓글 등에 실명을 노출하자는 청원이 10월22일 현재 2만명 넘게 동의를 얻었다.

악의적 댓글과 허위 사실 유포를 막기 위해 도입됐던 인터넷 실명제. 하지만 시행 5년 만인 2012년,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에 따라 폐지됐다. 표현의 자유가 위축되고,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이유였다. 그러는 사이 사이버 명예훼손과 모욕 발생 건수는 큰 폭으로 증가해 대안 마련이 필요하단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사이버 명예훼손·모욕죄 발생 건수는 2014년 8880건에서 2015년 1만5043건으로 증가한 이후 매년 1만5000건 내외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1만5296건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상황이 상황인 만큼 최근 정치권에서도 인터넷 실명제 카드를 다시 만지작거리고 있다. 여기에 실명제까진 아니더라고 댓글 작성자 아이디와 IP를 공개하는 인터넷 준실명제 ‘실리법’도 언급이 되고 있다. 하지만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다시 도입이 된다 한들 또 헌법소원을 제기하면 위헌 결정이 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악플로 죽은 자는 있지만 그 죽음에 책임지는 자는 없다. 철저히 얼굴을 가리고 이름을 숨긴 악플러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손가락 살인을 펼치고 있다. 악플은 또 하나의 흉기이자 테러다. 악플을 막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도 중요하지만 국민들의 의식개선을 위한 노력이 먼저 필요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