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늘어나는 지방 미분양…"공공매입 고려해야"
다시 늘어나는 지방 미분양…"공공매입 고려해야"
  • 세종경제뉴스
  • 승인 2024.03.19 13: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건설사 835곳 폐업신고…지방 건설사 미분양에 '줄도산' 우려
분양가 낮추는 자구 노력 선행…시세 70~80% 수준 공공매입 고려
시내 아파트 모습./뉴시스

지방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있다. 위험 수위인 '6만 가구'를 두 달 연속 넘기고, 악성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7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미분양 주택이 많은 지역의 건설사들이 자금난이 심각해지고,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일부 건설사는 자산 매각과 할인 분양 등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고금리로 늘어난 이자 부담과 원자재가격 상승 등 악재가 겹치면서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부동산 R114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63755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에는 62489가구로, 전월(57925가구) 대비 4564가구 증가했다. 국토교통부가 미분양 위험 기준으로 정한 62000가구를 두 달 연속 넘어선 것이다.

전국 미분양 물량은 지난 20225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 연속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기준 10개월 만에 미분양 물량이 증가한 것이다. 지역별로 대구(1245가구)가 가장 많았다.

미분양 물량을 털어내기 위한 금융 지원과 경품 혜택 제공 등 건설업계의 노력이 이어졌지만 워낙 대규모였던 탓에 여전히 잔여 물량도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경북(8862가구), 경기(5803가구), 충남(5484가구) 등으로 확인됐다.

전월 대비 미분양 물량 증가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북(2003가구)이었다. 그 뒤를 인천(1972가구), 경기(980가구) 등이 따랐다. 반면 경남(386가구), 충남(323가구)은 미분양 물량을 소진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확대되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89392가구99513가구101224가구111465가구121857가구로 다달이 늘어났다. 올해 1(11363가구)에도 1만가구대를 유지하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많은 지역은 전남(1210가구), 경남(1190가구), 부산(1174가구), 대구(1065가구) 등 순으로 집계됐다.

올들어 건설사 자진폐업 신고건수가 830건을 넘어서면 1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3일까지 건설사(종합·전문) 자진폐업 신고 건수는 835건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11.4건으로, 지난 2023년 같은 기간(751) 보다 11% 가량 늘어났다. 매년 11일부터 313일까지 폐업신고를 보면 지난 2014994건을 기록한 이후 500~600건대를 유지해 왔다. 지난해 700건대를 넘어서더니, 올해 800건대를 돌파했다.

또 부도 건설사도 총 6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보증사고 역시 잇따르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보증사고는 분양 1, 임대 4건 등 총 5건이다. 2023년 같은 기간(1) 보다 4건 증가했다. 올해 보증사고금액도 2130억원에 달한다.

준공 후 미분양이 역대 최다를 기록하는 등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주택 건설 사업장 관리를 강화하고, 사업 승인 취소와 공공 매입 등의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방 건설사를 중심으로 연쇄 도산 가능성은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미분양 주택에 대한 공공 매입 방식은 일정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미분양 주택의 공공매입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우선 미분양 주택의 분양가를 낮추는 건설업계의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공공매입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만약 공공매입을 한다면 지방 미분양을 주택의 소형 면적 위주로, 시세의 70~80% 수준으로 매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